숫자(Number)
프로그래밍 입문자에게 가장 익숙한 데이터형은 숫자와 문자일 것이다.
그 중 먼저 숫자를 살펴보자.
[실습]
<script>
alert(1);
</script>
[결과]
자바스크립트에서는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가 붙지 않은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.
※ alert() : 괄호 안에 어떠한 값을 넣으면 경고창에 괄호 안의 값이 경고창에 나옴
숫자 표현뿐만 아니라 사칙연산도 가능하다
[예시]
alert(1+1); // 2
alert(2*5) // 10
alert(6/2) // 3
사칙연산보다 좀 더 복잡한 연산도 지원한다.
[예시]
Math.pow(3,2); // 9 --- 3의 2승
Math.round(10.6); // 11 --- 10.6을 반올림
Math.ceil(10.2); // 11 --- 10.2를 올림
Math.floor(10.6); // 10 --- 10.6을 내림
Math.sqrt(9); // 3 --- 3의 제곱근
Math.random(); // 0부터 1.0 사이의 랜덤 숫자
Math.round(Math.random() * 100); // 0부터 1.0 사이의 랜덤 숫자 * 100 값의 소수점 반올림 한 정수 값
문자(String)
문자는 큰 따옴표 혹은 작은 따옴표 중의 하나로 감싸야 한다.
큰 따옴표로 시작하면 큰 따옴표로 끝나야하고 작은 따옴표로 시작하면 작은 따옴표로 끝나야한다.
[예시]
alert("coding everybody");
alert('coding everybody');
※ alert("coding everybody'); // 큰 따옴표로 시작하고 작은 따옴표로 끝나면 에러남
' 앞에 \(역슬래시)를 붙이면 '를 문자열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가 아닌 단순한 문자로 해석한다.
이러한 기법을 이스케이프(escape)라고 한다.
[예시]
alert('hyung\'s javascript');
아래 예시는 출력 값은 같을지라도 데이터 타입은 다르다.
각각 데이터 타입이 어떤지 알고 싶다면 typeof를 앞에 붙여주면 된다
[예시]
typeof 1 // number
typeof "1" // string
여러줄을 표시할 때 줄바꿈이 필요하다면 \n 를 줄바꿈이 필요한 부분에 입력해주면 된다.
[예시]
alert("안녕하세요.\n자바스크립트 공부 같이 합시다.");
문자와 문자를 더할 수도 있다.
[예시]
alert("coding" + " everybody");
[결과]
coding everybody
문자의 길이를 구할 때는 문자 뒤에 .length를 붙인다.
[예시]
alert("coding everybody".length);
[결과]
16
출처: 생활코딩
'개발이야기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반복문 (0) | 2019.03.08 |
---|---|
5. 조건문 (0) | 2019.03.05 |
4. 비교연산자 (0) | 2019.03.05 |
3. 변수/주석/세미콜론과 들여쓰기 (0) | 2019.03.05 |
1. 언어소개/실행방법과 실습환경 (0) | 2019.03.04 |